雪嶽山 新興寺 由來
이 가람은 신라(新羅) 진덕여왕 6년(서기652)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여 향성사(香城寺) 라고 하였다.
이 이름은 불교의 중향성불토국(衆香城佛土國)이라는 글에서 따온 것인데
중향성(衆香城)은 금강산(金剛山) 철위산(鐵圍山)을 의미하며 불토국(佛土國)은 부처님께서 교화 할 대상적 국토라는 의미와
정치적 형태의 국가라고 하는 뜻과 어울린 말이다.
처음 향성사지는 지금의 켄싱턴호텔 자리에 세워져 46년간 존속하다가 효소왕 7년(서기 698)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당시 9층이던 향성탑이 현재 켄싱턴호텔 앞에 3층만 남아 있어 옛 향성사의 역사를 말해주듯 옛날을 잊지 않게 하고 있다.
향성사가 화재를 당한지 3년 후 의상조사께서 능인암(현재 내원암)터에 다시 중건하고 사명(寺名)을 선정사(禪定寺)라고 개칭 하였다.
그 후 946년간 수많은 선승들이 이곳에서 수도 정진하여 왔으나 조선 인조20년(서기1642)또다시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것을
2년후 영서(靈瑞), 혜원(惠元), 연옥(蓮玉) 세분의 고승들께서 중창을 서원하고 기도 정진 중
비몽사몽간에 백발신인이 나타나서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해 주며
“이곳은 누 만대에 삼재가 미치지 않는 신역(神域)이니라” 말씀 하신 후 홀연히 사라지는 기서(奇瑞)를 얻고
절을 중창하니 지금의 신흥사이다.
절 이름을 신인(神人)이 길지(吉地)를 점지해 주어 흥왕(興旺)하게 되었다 하여 신흥사(神興寺)라 한 것이다.
6·25사변때 고성군 건봉사는 전소되었고 영북지역의 대본산 기능이 마비되었을 무렵
고암, 성준 두 스님의 원력으로 여기 신흥사를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로 승격하여 업무를 이관하게 되었다.
이후 신흥사는 영동지역의 불교를 새롭게 일으키는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불사를 전개해 나갔다.
속초노인복지관을 개관하고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등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사업에 헌신하는 한편,
춘천에는 불교방송지국을 개국하여 포교에 전념하는 사찰이 되었다.
이렇게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자 신흥사가 과거의 신흥사가 아니라 새로운 신흥사가 되었다며
신흥사(新興寺)의 귀신 신자(神字)를 시대에 맞게 새로울 신자(新字)로 고쳐 사용하자는 중론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1995년부터 영동불교를 새로 일으킨다는 서원을 담아 사명(寺名)을 신흥사(新興寺)로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50년 6,25전쟁당시 신흥사
1965년 당시 신흥사 모습
아미타불을 모신 신흥사의 본전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겹처마 팔작지붕1)의 다포(多包)2)단층 집이다.
1971.12.16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인조 25년 영서, 연옥, 혜원 3스님이 창건하였고,
조선 영조 26년(1750) 각중 (覺重) 등이 중수(낡은 건 물을 고쳐 다시 새롭게 함 = 중창)하였다.
순조 21년 (1821년) 거관(巨寬 ), 근민(近旻), 부총(芙聰), 승기(勝琦), 창오(暢 悟) 등이 중수하였고,
순조27년(1827년)에는 단확하였으며, 최근에 들어 1977년에 보수하였다.
공포3)의 아름다움과 단청의 다양한 문양은 다른 건물의 추종을 불허한다.
공포(拱包)는 3출목이며 쇠서는 끝이 위로 올라간 앙서로 되었고,
소로와 첨차의 아랫 부분이 직면으로 사절 (斜切)되어 조선시대 후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면어칸(御間) 사분합문의 꽃살문양과 협칸의 빗살문양이 돋보인다.
극락보전으로 올라가는 석조계단은 하나의 돌로 된 층계인데, 영조 37년(1761년) 홍징(弘徵), 홍운(弘運) 등이 쌓았다.
1977년 보수 때 계단을 3조로 개조하였다.
계단 하단 양쪽에 용두를 조각하였고, 측면에 귀면상을 조각 하였다.
축대 정면왼쪽에는 길상초와 사자상이 조각되어 있다.
전(殿)내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하고 있다.
극락보전 앞 마당에 요런 돌기둥 두개씩이 양쪽에 박혀 있고 옆쪽으로 보면 요래 구멍이 뚫여 있었다
이것이 최근에 만든 것이 아니고 오래전부터 그곳에 박혀 있었던 듯 돌을 깍은 모소리가 다 닳어져 있었다.
궁금해서 그곳에 계시는 보살님께 여쭈어 보니 큰 행사가 있을때 탱화를 내다 거는 설치대란다.
신흥사의 본전인 극락보전 앞에 있는 장방형(직사각형) 의 큰 누각이다.
장대석으로 쌓은 2단의 축대 위에 정면 7칸(22.4m), 측면 2칸(8.5m)의 누마루식 홑처마 맛배 지붕이다.
1985.9.13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영 조 46년(1770년)에 세워진 것으로 누각식으로 되어 하층 중앙칸은 극락보전으로 가는통로가 되고, 상층은 다락으 로 되어있다.
본래 사찰의 본전 앞에 세워지는 누각은 각종 법회를 거행 하던 곳이 었으며 사방이 개방되어 있었다.
현재는 그 기능이 사라졌으며, 세살의 분합문을 달았다.
건물 안에는 직경 6척 비자나무통에 황우 6마리 분의 가죽으로 만들었다는 법고(法鼓)와 목어가 보존되어 있다.
특히 네 벽에 시판(詩板)과 추사(秋史)의 친필이 있어 유명 하다.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보제루가 세워져 있으며 왼쪽으로는 종무소가 자리한다
경내로 들어서서 저 멀리 설악산을 바라보면 설악의 기암괴석과 어우러진 청송들이
하모니를 이루며 저 멀 리 몰려드는 운해가 한층 운치를 더하기도 한다
정면에 세워져 있는 보제루는 1770년(영조 46년)에 세워진 누각으로 장대석을 쌓은 2단의 축대 위에
정면 7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04호로 지정되었다
보제루 내부에는 직경이 2m에 이르는 비자나무통에 황소 여섯 마리 분의 가죽으로 만들었다는 법고(法고) 와
3m 남짓한 크기의 용머리를 취한 목어(木魚), 신흥사와 관련된 여러가지 현판 등과 강원도 지방문화재
제 15호로 지정된 경판이 보관되어 있다
이 경판은 17세기 중반에 새긴 19종의 목판으로 한자, 한글, 범어(梵語)가 혼합되어 있는 희귀한 것으로 그 가치가 크다
본래 이 경판들은 1661년(현종 2년)에 지어진 해장전이라는 건물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1858년 응진전으로 바뀐 후 현재는 보제루에 보관되고 있다.
또한 6.25때 총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 동종이 보관되어 있으며
재건이전 건물외벽에 그려진 탱화가 그 대로 보존되어 있다.
보제루
보제루 아래 누각을 받치는 기둥
시간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둘러 보아야 할 전통 깊은 사찰인데 단체 여행으로 잠깐 들른 것이라
30여 분 밖에 시간이 없어서 눈에 보이는 번듯하게 보이는 건물만 겨우 사진찍고 와서
극락보전 이나 보제루 내부도 들여다 본지 못해 아위움이 있습니다 사진 찍으면서 늘 잘못하는 것이 카메라를 눕혀서 찍어서 건물이 뒤로 넘어가게 찍어지는 것
사진 찍으면서 늘 잘못하는 것이 카메라를 눕혀서 찍어서 건물이 뒤로 넘어가게 찍어지는 것
'여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연화산 와우정사 (0) | 2014.06.03 |
---|---|
창덕궁에서 예쁜이들 날아오르다,,여학생 (0) | 2014.05.07 |
이천백사 산수유꽃 축제 (0) | 2014.04.04 |
여행이야기,,,오래 전에 금강산 다녀온 이야기,,1 (0) | 2014.03.06 |
설매재 자연 휴양림,,,용문사 은행나무 (0) | 2011.03.03 |